서찬휘 공식 홈페이지
/
저서
/
공저서
Search
Duplicate
Share
공저서
갤러리 보기
List
Search
《만화규장각지식총서 023 - 2014 부천국제만화축제를 만나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발행 2014.12.18 240쪽 ISBN 978896818063-7 서찬휘, 백정숙, 위원석, 조익상, 이소현 공저
책 뒷이야기
전시 큐레이션으로 참여한 2014년 부천국제만화축제(BICOF) 주제전 《만화, 시대의 울림》의 도록. 당시 행사를 구성한 특별전, 작가전, 주제전 등에 관한 내용들을 정리한 글을 담고 있다. 전시의 내용을 별도로 발주하여 일반적인 전시 도록과는 다소 다른 느낌을 주는 책자다.
이 책이 비매품이자 일반 배포가 되지 않은 까닭은 한국 현대사와 만화사의 접점을 얽어 풀어낸 내 원고 때문으로, 당시 박근혜 정권기에 앞 독재정권기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서술한 부분을 "팩트가 잘못됐다"는 이유로 수정을 요구했으며, 그런 이유로 책자가 판매될 수 없음을 고지한 바 있다. 이 책은 그런 연유로 인쇄본은 물론 PDF로도 구할 수 없게 된 비운의 책이다. 칼질된 원고로 책은 찍혀나왔으되, 누구도 만날 수 없게 됐다.
어쨌든 앞 독재정권기들을 향한 시대의 평가는 이미 끝났음에도 대체 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상황을 맞이했는가 의아했는데, 이후 박근혜 정권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이름을 올리고 역시 편집위원회에 참여한 바 있는 잡지 《BOGO》가 정권 비판 건으로 한 호를 통째로 유통을 방해받고 이후 기획 등이 사업에서 배제되는 상황을 겪으면서 깨닫게 되었다. '그 때는 그런 시기'였다. 이 책도 결국은 같은 연유였던 셈이다. 사는 곳까지 쫓아와 제발 원고를 수정해라, 너만 굽히면 된다고 압박하던 담당자라고 그 요구를 내게 하고 싶진 않았으리라 믿는다.
그 땐 그랬다. 그런데 그게 불과 몇 년 전 일이다. 빨간 딱지가 아직도 선명히 흔적으로 남아 있는 사람이 이렇게 눈 뜨고 서 있다.
목차
2014 부천국제만화축제를 만나다 (2014, 한국만화영상진흥원)
《한국의 만화가 2》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발행 2010.03.10 112쪽 130×220mm 146g ISBN 9788992596336
책 뒷이야기
2009년 네이버가 자사의 '한국인' 인터뷰 시리즈 중 만화가 인터뷰 파트를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측과의 제휴로 진행했다. 나를 비롯한 세 인터뷰어가 각기 여러 만화가를 인터뷰했는데, 이 때 네이버는 자사 연재 중이던 작가들을 인터뷰어와 함께 붙여 선후배간의 만남을 엮어준 후 이를 후기 만화로 그리게끔 했다. 이 책은 그와 같은 인터뷰 시리즈와 후기 만화를 한 데 엮은 결과물로 인터뷰 이듬해에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의 총서류로 출간되었다.
2권에 수록된 인터뷰이 가운데에서 내가 맡은 작가는 김산호, 강경옥, 양영순, 신문수, 김혜린 다섯 작가분이다. 책은 절판되었지만 작가 인터뷰는 네이버에서 읽을 수 있다. (아래 배너 클릭)
서찬휘(만화 칼럼니스트) : 네이버 지식백과
만화·애니메이션·라이트노벨 등을 중심으로 다루는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한겨레신문을 비롯한 각종 신문·잡지 매체를 통해 글을 발표해 왔으며 만화 언론 '만'(http://mahn.co.kr) 창간을 주도, 2대 편집장으로 재직 중이다. 현재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만화창작과에 출강하고 있다. 공저서로 '애니메이션 시크리트 파일'·'조선을 그린 이두호'·'2006만화산업통계연감'·'2008한국만화영감' 등이 있다. 이메일: seochnh@manhwain.com
한국의 만화가 2 (2010, 한국만화영상진흥원)
《한국의 만화가 1》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발행 2010.03.10 발행 112쪽 130×220mm 146g ISBN 9788992596336
책 뒷이야기
2009년 네이버가 자사의 '한국인' 인터뷰 시리즈 중 만화가 인터뷰 파트를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측과의 제휴로 진행했다. 나를 비롯한 세 인터뷰어가 각기 여러 만화가를 인터뷰했는데, 이 때 네이버는 자사 연재 중이던 작가들을 인터뷰어와 함께 붙여 선후배간의 만남을 엮어준 후 이를 후기 만화로 그리게끔 했다. 이 책은 그와 같은 인터뷰 시리즈와 후기 만화를 한 데 엮은 결과물로 인터뷰 이듬해에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의 총서류로 출간되었다.
1권에 수록된 인터뷰이 가운데에서 내가 맡은 작가는 김수정, 윤태호 두 작가분이다. 책은 절판되었지만 작가 인터뷰는 네이버에서 읽을 수 있다. (아래 배너 클릭)
서찬휘(만화 칼럼니스트) : 네이버 지식백과
만화·애니메이션·라이트노벨 등을 중심으로 다루는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한겨레신문을 비롯한 각종 신문·잡지 매체를 통해 글을 발표해 왔으며 만화 언론 '만'(http://mahn.co.kr) 창간을 주도, 2대 편집장으로 재직 중이다. 현재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만화창작과에 출강하고 있다. 공저서로 '애니메이션 시크리트 파일'·'조선을 그린 이두호'·'2006만화산업통계연감'·'2008한국만화영감' 등이 있다. 이메일: seochnh@manhwain.com
공저자
한국의 만화가 1 (2010,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조선을 그린 이두호》
씨앤씨레볼루션 발행 2008.12.09 200쪽 152×223mm 280g ISBN 9788990046567
책 뒷이야기
'조선시대 전문 만화가'의 원조 격인 이두호 선생을 다각도로 다룬 책. 당시 세종대학교 만화과 교수로서 정년퇴직하신 이두호 선생에게 헌정된 논집이다. 이 가운데에서 나는 <머털도사>의 OSMU 사례라는 꼭지로 참여했다.
공저자
한창완, 손상익, 김낙호, 김정영, 이용철, 하일권, 박석환, 박인하, 김성훈, 김기홍, 한상정, 박창석, 서찬휘, 민병두, 이재식
조선을 그린 이두호 (2008, 씨앤씨레볼루션)
《애니메이션 시크리트 파일》
시공사 2001.08.31 발행 200쪽 188×257mm 500g ISBN 9788952714961
책 뒷이야기
처음으로 참여한 공저서. 《애니스쿨》과 《스튜디오 붐붐》 등으로 맹활약 중이던 송락현 씨가 기획한 무크지로 2001년 당시 한국의 애니메이션 오타쿠/마니아 1세대로 구분할 수 있던 이들을 모아 낸 책이다. 나는 당시 서서히 칼럼니스트로 통신 활동과 매체 연재 활동을 넓혀가고 있던 상황에서 말석에 초대 받았다. 이것이 내 경력 가운데 잡지 연재가 아닌 책으로 묶인 것으로는 처음이었다.
훗날 단독 저서가 나오기 전까지 한겨레신문 칼럼 연재와 더불어 경력 첫머리를 장식했던 중요한 책. 다만 한 가지 난감한 것은 당시 23살이었던 난 어떻게 해도 한국 애니메이션 오타쿠/마니아 1세대가 아닌 2세대쯤 된다는 점이었다. 나 개인으로서는 고마운 경험이었지만 본의 아니게(그리고 내 의지와는 상관 없이) 연배를 속인 상황이 되었는데, 그래서 이후 단독저서들에서는 꼬박꼬박 출생연도와 내 나름대로의 세대 규정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아직 애니메이션에도 무게 중심을 두고 있던 시기이자 프로그래머 겸업자로서 인터넷 환경이 만들어내는 가능성에 관한 관심이 충만하던 시기의 나를 만날 수 있다. 책이 나온 때는 아직 대학 졸업 전이었는데, 대학 졸업 논문의 주제도 이와 연결점을 지니고 있다.
애니메이션 시크리트 파일 (2001, 시공사)